728x90 공부 목록318 어미 품사인 '~던지'와 '~든지'를 어떻게 사용하나요? '하던지 말던지'가 맞을까요? '하든지 말든지'가 맞을까요? 말투만 봤을 때는 사투리인 거 같지만 사실 '던지'와 '든지'는 품사가 어미인 뜻이 다릅니다. 두 어미의 정확한 뜻과 사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던지'와 '~든지' 비교 '~던지'는 그다음에 오는 내용에 대한 이유를 나타낼 때 사용되는 연결 어미입니다. '얼마나 춥던지 오들오들 떨었다'에서 오들오들 떤 이유가 추웠기 때문이라고 연결해 준다는 뜻입니다. '~든지'는 여러 개 중 선택을 권유할 때 사용하는 연결 어미입니다. 두 개의 어미는 정확히 다른 뜻을 갖고 있기 때문에 발음을 명확하게 하여 의미를 전달해야 합니다. 2. ~던지 의미 : 뒤에 오는 말의 내용에 대한 막연한 이유나 판단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품사 : 어미 사용법.. 2023. 5. 24. 자주 헷갈리는 '비추다'와 '비치다'의 뜻과 구분방법 발음도 다르고 사전적 의미도 다른 '비추다'와 '비치다'는 발음 시 자주 섞어 사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렇다 보니 점점 갈수록 의미까지 섞이게 되어 정작 다른 뜻을 지닌 단어를 사용하는 실수를 범하곤 합니다. 두 단어의 뜻을 정리해 보고 두 개를 구분하는 팁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비추다'와 '비치다' 두 단어의 쉬운 구분 방법으로 앞에 조사의 형태를 보는 겁니다. 위와 같이 '~이'와 같이 쓰이는 것이 '이'와 발음이 비슷한 '치'가 사용된 '비치다'이며, '~을'과 같이 사용되는 것이 '추'가 포함된 '비추다'입니다. '비추다'는 밝게 빛을 내는 것으로 다른 것을 밝게 하거나 드러나게 한다는 의미입니다. '비치다'는 무언가를 통해 반사되어 보이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2. 비추다 .. 2023. 5. 23. 발음이 같아 혼동하기 쉬운 '부치다'와 '붙이다'의 다른 뜻 '부치다'는 있는 그대로 발음이 됩니다. '붙이다'는 구개음화(받침 'ㄷ', 'ㅌ'이 조사나 접미사의 모음 'ㅣ'와 결합하게 되면 'ㅈ', 'ㅊ'으로 발음)에 의해 '부치다'로 발음해야 합니다. 이렇게 발음이 같다 보니 단어를 따로 공부하지 않았을 경우 두 개의 단어의 뜻을 정확히 사용할 수 없을 겁니다. 오늘은 두 단어의 정확한 뜻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부치다 vs. 붙이다 오늘 비교할 두 단어는 각각이 상당히 많은 뜻을 갖고 있어 내용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부치다'는 편지나 물건 등을 보내는 의미로 사용하거나, 어떤 일을 하기에 힘이나 능력 등이 부족하다는 뜻으로 사용합니다. '붙이다'는 풀로 종이를 붙이다와 같이 무엇에 닿아서 떨어지지 않게 하는 뜻이나, 불을 옮겨 타게 한다.. 2023. 5. 23. ‘부딪다’의 파생어 ‘부딪치다’와 ‘부딪히다’의 차이 충돌하다의 의미를 갖는 '부딪다'의 파생어인 '부딪치다'와 '부딪히다'는 문맥상 의미가 다른 두 개의 단어입니다. 실수로 잘 못 써도 크게 눈에 띄진 않지만 두 단어의 문맥상 정확한 의미만 안다면 올바른 사용을 할 수 있을 겁니다. 1. 부딪다 발음 : [부딛따] 활용 : 부딪어, 부딪는 파생어 : 부딪히다, 부딪치다 '부딪히다'와 '부딪치다'의 어원인 '부딪다'는 '마주 닿다' 또는 '마주 닿게 하다'란 의미와 '어떤 상황에 직면하다'의 뜻을 갖습니다. 1. 매우 세게 마주 닿다. 또는 마주 닿게 하다 - 잔을 부딪다 / 머리를 부딪다 / 그릇들이 부딪다 2. 예상치 못한 일이나 상황을 직접 당하거나 접하다. - 반대에 / 어려움에/ 절망에 부딪다 2. 부딪치다 vs. 부딪히다 두 단어는 부딪다의 활용.. 2023. 5. 23. 3차원의 표면을 생성을 위한 matplotlib의 plot_surface() 함수 3차원의 결과물을 나타내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matplotlib의 pyplot에는 plot_surface()라는 함수가 있는데, matplotlib.org에서 관련 내용을 찾아보니 해당 함수가 검색이 안 되네요. 오늘은 해당 함수에 대한 설명과 각 인자들이 변경될 때 결과물이 어떻게 바뀌는지 같이 확인해 보겠습니다. 1. plot_surface는 언제 사용하는가? matplotlib의 pyplot 모듈의 plot_surface 함수는 3D 표면 그래프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함수는 3D 공간에서 X, Y 및 Z 좌표를 입력으로 받아서 이러한 좌표에 대한 표면을 그립니다. plot_surface 함수는 NumPy 배열 또는 2D 그리드의 좌표를 입력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입력으로 제공되는 X.. 2023. 5. 23. 파이썬에서 등고선을 그리는 메서드 contour() 함수 정리 데이터의 가시화하는 데는 수많은 방법들이 존재합니다. 각각의 방법은 데이터 분석의 특색에 맞춰 사용되어야 합니다. 데이터상의 같은 값으로 연결된 선을 등치선이라 하는데, 이를 만들어 주는 matplotlib의 메서드가 contour()입니다. 오늘은 contour()의 사용법과 해당 메서드를 이용한 멋진 등고선을 그려볼까 합니다. 1. contour()는 언제 사용하는가? plt.contour() 함수는 Matplotlib 라이브러리에서 제공되는 함수로서, 2차원 등고선을 그리는 데 사용됩니다. 이 함수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유용합니다. 1. 함수나 데이터의 등고선 플롯을 생성하고자 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2차원 함수의 등고선을 그려서 함수의 등치선을 시각화하거나, 실제 데이터의 등치선을 표현하.. 2023. 5. 22. 파이썬 pyplot의 메서드를 이용한 그래프를 설정하는 방법들 파이썬 라이브러리인 matplotlib을 이용하여 그래프를 그리고 나면 뭔가 좀 허전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x축과 y축의 이름이나, 그래프의 타이틀, x 또는 y축의 범위 등을 세팅하여 보다 있어 보이는 그래프를 그리기 위해서는 pyplot에서 제공하는 메서드를 활용하여 디테일 세팅을 해야 합니다. 오늘은 그래프 설정을 위한 메서드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와 어떻게 값을 설정하는지 그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pyplot의 그래프 세팅 메서드들 matplotlib의 pyplot에는 그래프를 세팅할 수 있는 많은 메서드들이 있습니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허전한 그래프를 좀 더 완벽하게 보일 수 있는 세팅 메서드들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각 메서드들의 설명과 사용예시는 아래를 참조하세요 plt.. 2023. 5. 22. 머물다의 ‘묵다’와 밧줄을 ‘묶다’의 바로 알기 한글에서 단어가 헷갈리는 이유는 발음이 비슷해서가 아닐까 합니다. 오늘은 발음이 같은 '묵다'와 '묶다'의 사전적 의미를 확인해 보고 사용 시 실수하지 않도록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묵다' vs. '묶다' '묵다'는 어느 장소에 머물러 있다란 의미로도 사용되지만, 오래된 상태가 된다는 의미도 갖고 있습니다. 또한, 땅 등이 사용되지 않은 채 그대로 남겨있는 상태를 표현할 때도 사용됩니다. '묶다'는 끈과 같은 것들을 매듭으로 만들거나, 여러 개를 하나로 합친다는 의미로 사용합니다. 2. 묵다 발음 : [묵따] 활용 : 묵어, 묵으니, 묵는 품사 : 동사 출처 : 한국어기초사전 '묵다'의 첫 번째 뜻으로는 '상당한 기간이 지나서 오래된 상태가 되다'입니다. 김치가 오랜 기간 지나서 숙성된 것을 .. 2023. 5. 22. 이전 1 ··· 26 27 28 29 30 31 32 ··· 40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