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피동2 능동과 피동, 주동과 사동의 비교 및 차이 구분(feat. 영어 형식) 최근에 맞춤법 관련된 내용을 많이 다뤘습니다. 다뤘던 내용 중에 피동 조사 '이, 히, 리, 기'와 같은 내용들을 소개했던 일이 있습니다. 이런 내용들을 소개하기 전에 '피동'이 무엇인지 짚고 넘어가야 할 거 같아 이번 주제로 정했습니다. 한글 문법에서 능동, 피동, 주동, 사동들이 어떠한 특성으로 사용되는지, 서로 어떤 관계인지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1. 능동, 피동, 주동, 사동 그리고 수동 (feat. 영어 문장의 형식) 영어에서는 문장의 형식이라고 해서 1 형식부터 5 형식까지 사용합니다. 각 형식은 주어, 동사, 목적어, 보어(형용사)의 사용 순서에 따라 결정이 됩니다. 형태에서는 수동태와 능동태 2가지 형태가 사용됩니다. 국어의 문법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영어의 형용사와 동사는 완전.. 2023. 6. 24. '닫다'의 파생어 '닫치다'와 '닫히다'의 차이 구분 '문, door'과 같은 어떤 물건을 원래 위치로 돌아간다의 뜻을 갖는 '닫다', '닫치다', '닫히다' 단어 삼 형제가 어떻게 다른지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특히 '닫히다'와 '닫치다'는 서로 어떻게 발음되는지도 헷갈릴 수 있습니다. 세 단어의 특성과 뜻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닫다, 닫치다, 닫히다 세 단어 중 맏형이라고 할 수 있는 '닫다'가 '닫치다'와 '닫히다'의 기본 단어라 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 '부딪다'의 단어 설명에서 나왔듯이 한글에서 '치'와 '히'의 의미를 알면 명확하게 의미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치'는 단어를 강조하기 위해 쓰이며, '히'는 피동의 의미로 바꾸기 위해 사용됩니다. '닫다'가 '문을 닫다'로 사용이 될 때 '문을 닫치다'는 문을 세게 닫는다로 해석해야 하며 .. 2023. 6. 3.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