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공부 목록/언어172

'냄새'와 '내음'의 독특한 차이 비교 '냄새'와 '내음'은 코를 통해 맡을 수 있는 향에 대한 단어입니다. 두 단어는 의미와 사용에 있어 조금 독특한 특징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두 단어의 의미와 사용에 있어 구분하는 내용을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1 냄새 vs 내음 '냄새'의 사전상의 의미는 '코로 맡을 수 있는 기운'이란 뜻입니다. 너무나 잘 알고 있는 뜻이기에 더 설명이 필요 없을 듯합니다. '내음'은 본래 지역 방언이었습니다. 하지만 문학적 표현으로 자주 등장하는 '내음'은 2011년에 국립국어원에서 인정을 했지만 표준어로는 등재를 하지 않았습니다. 한국어기초사전에 '내음'을 검색하면 내용이 나오지 않는다는 것은 표준어로 등재가 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네이버 사전에서 검색을 하게 되면 문학적 표현에 쓰인다는 내용과 함께 .. 2023. 8. 22.
'먹거리', '먹을거리' 그리고 '먹을 거리' 뭐가 맞는거야? 음식을 의미하는 '먹거리', '먹을거리', '먹을 거리'는 어떤 것이 맞고 어떤 것이 올바른 띄어쓰기인지 구분할 필요가 있는 표현들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올바른 표준어가 어떤 것이고 이 단어들의 의미에 맞게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1 먹거리 vs 먹을거리 vs 먹을거리 우선 '먹거리'부터 말을 하자면 2011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틀린 표현이었습니다. 2011년에 표준어 개정에 의해 표준어가 된 단어입니다. 특정 음식이 아닌 먹는 것에 대한 큰 의미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먹거리 골목'과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먹을거리 골목'이란 표현을 쓰지는 않습니다. '먹을거리'와 '먹을 거리'는 띄어쓰기부터 검토하겠습니다. 이 단어는 '먹다'와 어떠한 것의 재료를 의미하는 '거리'가 합쳐진 표.. 2023. 8. 22.
생김새와 발음이 비슷한 '결재'와 '결제'의 차이 구분 '결재'와 '결제'는 서로 다른 뜻을 갖는 두 단어입니다. 두 단어는 한자로 구성된 한자어로 한자의 의미를 잘 파악하면 구분하는데 어려움이 없을 겁니다. 이번 글에서는 두 한자어인 '결재'와 '결제'의 차이와 구분 방법에 대해서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1 결재 vs 결제 '결재'는 결단할 결(決)과 마를 재(裁)를 사용한 단어입니다. 결단할 '결'은 결정하다의 의미가 있으며, 마를 '재'는 옷이나 글을 만들거나 짓는다는 뜻입니다. 이를 이용하면 '결재'는 '결정을 위한 글을 적다' 정도의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결제'는 결단할 결(決)과 건널 제(濟)가 합쳐진 한자어입니다. 건널 '제'는 건너다, 돕다, 도움이 되다의 의미를 갖습니다. '결제'는 '일을 처리하여 끝을 내다'란 의미가 있으며 경제적 .. 2023. 8. 22.
직접 인용문과 간접 인용문 뒤의 인용격 조사 '라고', '고'의 구분 글을 쓰다보면 다른 사람의 말이나 글을 인용해서 같이 사용하는 경우가 더러 있습니다. 인용할 때는 직접 인용문과 간접 인용문을 사용하는데 두 인용문의 차이와 각 인용문 형태에 따라 뒤에 붙는 인용격 조사는 어떻게 사용하는지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직접 인용문과 간접 인용문 인용 표현이란 남의 말이나 글에서 직접 또는 간접으로 끌어온 내용을 표현하는 것을 말합니다. 직접 인용문의 경우 다른 사람의 말투나 내용을 그대로 사용하는 문장을 말하며 사용시에는 큰 따옴표(" ")를 사용하게 됩니다. 제가 쓴 글에는 작은 따옴표로 인용문을 사용한 경우가 많은데 사실 작은 따옴표는 인용한 말 안에 있는 인용한 표현을 쓸 때나 마음속으로 한 말을 적을 때 사용됩니다. 아들이 "아빠 오늘은 회사 안가?"라고 오전에.. 2023. 8. 21.
어떤 경우에 ‘데’를 띄우거나 붙여서 사용할까? ‘데’는 두 개의 품사를 갖고 있는 표현입니다. 각 품사에 따라 붙여 쓰거나 띄어서 사용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데’의 용법에 따른 띄어쓰기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아주 간단하게 정리하였으니 끝까지 읽고 도움이 됐으면 합니다. 1 의존 명사 ‘데’ vs 종결 어미 ‘데’ 의존 명사 ’데‘는 하나의 구분된 단어이기 때문에 앞의 단어와 띄어서 사용하게 됩니다. 의존 명사로 사용될 때는’데’가 장소, 것, 일, 곳과 같은 단어로 대체가 가능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데’는 장소를 뜻하게 됩니다. ‘데’를 붙여 쓰는 경우는 종결 어미로 사용할 때입니다. 종결 어미란 문장을 끝맺게 하는 어미입니다. 이 때문에 종결어미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문장의 끝 부분에 나타나게 되면 이때의 ‘데’는 서술어와 붙여서 쓰.. 2023. 8. 7.
‘만’은 품사의 형태에 따라 띄어쓰기가 달라진다 ‘만’은 쓰이는 용도에 따라 품사의 종류가 달라지는 단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품사의 형태가 달라지면 띄어쓰기도 붙여쓰기도 하는 ‘만’에 대해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그리 어려운 내용은 아니니 쭉 한 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1 의존 명사의 ’만‘ vs 조사의 ‘만’ ’만‘이 의존 명사로 사용하게 되면 앞의 단어와 띄어서 사용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의존 명사 ‘만’은 시간이나 횟수가 앞에 오게 됩니다. 시간과 횟수 외에도 이유나 가능성의 문맥이 쓰일 때 ‘만’은 의존 명사로 사용됩니다. 조사로 사용되는 ’만‘은 앞의 단어와 결합되어야 하며 이때는 붙여서 쓰입니다. 대부분의 ’만‘은 붙여서 사용한다고 생각하시면 되기 때문에 의존 명사의 사용만 주의 깊게 확인하시면 ’만‘의 띄어쓰기 구분을 잘하실 수 있을.. 2023. 8. 7.
단어 '대로'의 올바른 띄어쓰기 방법은? '대로'의 띄어쓰기는 조금 어려울 수 있는 문법입니다. '대로'는 붙여서도 쓸 수 있지만 띄어서도 사용할 수 있는 단어이기 때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로'의 올바른 띄어쓰기와 단어의 특징에 대해서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띄어쓰기의 구분을 쉽게 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팁을 드릴 테니 마지막까지 잘 읽어봐 주시기 바랍니다. 1 ~대로 vs ~ 대로 '~대로'처럼 '대로'를 붙여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조사로 사용된 경우입니다. '대로'가 조사로 사용하게 되면 앞에 연결된 단어를 따른다는 의미를 나타내게 됩니다. 다른 의미로는 둘 이상을 구분할 때 사용합니다. '돈은 돈대로 시간은 시간 대로'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대로'와 같이 앞 말과 띄어 쓰게 되면 '대로'는 의존 명사로 사용한 겁니.. 2023. 8. 7.
단어 '같이'는 언제 붙여서 또는 띄어서 사용할까요? '같이'의 띄어쓰기는 조금 어려울 수 있는 문법입니다. '같이'는 붙여서도 쓸 수 있지만 띄어서도 사용할 수 있는 단어이기 때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같이'의 올바른 띄어쓰기와 단어의 특징에 대해서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띄어쓰기의 구분을 쉽게 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팁을 드릴 테니 마지막까지 잘 읽어봐 주시기 바랍니다. 1 A같이 vs A 같이 'A같이'처럼 앞의 단어와 붙여서 사용한다면 '같이'는 조사로 사용된 겁니다. 앞의 말과 특성이 서로 비슷함을 나타내거나 강조할 때 사용하는 조사입니다. 'A 같이'처럼 사용할 때는 조사가 아닌 부사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즉, 뒤에 나오는 서술어와 관계를 갖습니다. 조사는 앞의 명사와 관계를 갖고 사용하지만 부사는 뒤의 서술어를 꾸며주는 역할을 하기.. 2023. 8. 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