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703 "don't"는 "do not"의 단순한 축약형이 아니다?(feat. 어감) 우리는 학교에서 do의 부정형을 "do not" 그리고 "do not"을 줄여서 "don't"라고 쓴다고 배웠습니다. 저는 이것들이 지금까지 다 똑같다고 배웠으며, 그렇게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두 개의 표현이 완전히 같지는 않다고 합니다. 학교에서는 절대 안 알려주지만 원어민은 알고 있는 "do not"과 "don't"의 숨겨진 의미니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1. "do not"과 "don't"의 어감 느끼기 "do not"은 어떤 동사의 부정을 만들어 주는 표현입니다. "I believe it"은 '나는 그것을 믿는다'는 의미이며, "I do not believe it"은 '나는 그것을 믿지 않는다'로 처음 문장의 부정형입니다. "do not"이 길기 때문에 구어체에서는 "don't"로 줄여서 .. 2023. 5. 20. 발음이 같아 실수하기 쉬운 ‘달이다’와 ‘다리다’ ‘달이다’와 ‘다리다’는 사전상 발음을 보면 [다리다]로 같습니다. 한국어는 이러한 같은 발음 때문에 말할 때는 문제없지만 글을 작성하거나 문자를 보낼 때는 두 개의 단어를 실수로 잘 못 사용할 때가 종종 있습니다. 두 개의 단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달이다'와 '다리다’ ‘달이다’는 보통 한약을 ‘달일 때’ 많이 사용하고 듣게 됩니다. 사극을 보면 ’탕약을 달여 오너라‘와 같은 표현을 종종 접하게 되는데요, ‘달이다’는 어떠한 것을 물에 끓여서 액체의 농도를 진하게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리다‘는 ’다리미‘로 옷이나 천의 구김을 피는 것은 말하는데, ’다리‘미를 사용해서 ’다리‘다로 생각하시면 쉽게 잊지 않을 겁니다. 2. 달이다 발음 : [다리다] 활용 : 달이어, 달여,.. 2023. 5. 19. 프로그램 개발 전 순서도(flow chart)를 작성해 보세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업무를 하다 보면 자신의 개발 프로그램을 타인에게 설명을 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내부함수나 외부함수를 사용하고 클래스도 별도 정의한 라이브러리에서 읽어오는 등 조금 복잡한 코드의 경우 실행 순서를 쫓아다니기가 버거울 때가 있습니다. 순서도(flow chart)를 작성해 놓으면 프로그램 개발 시 내가 의도한 바가 잘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협업을 할 때 설명하기도 수월합니다. 또한, 업무 인수인계 시 순서도를 전달해 주면 업무를 받는 사람이 코드 이해를 보다 쉽고 빠르게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러한 순서도를 어떻게 작성하는지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1. 순서도의 종류와 특성 Start/End : 타원 무슨 일을 하던지 시작과 끝을 알리는 것이 일반적일 겁니다. 순서도에.. 2023. 5. 17. '동시에'를 뜻하는 as, when, while의 사용 조건들 영어에서 동시에 일어나는 상황이나 행동에 대해 언급하기 위해서 as, when, while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이들이 조금씩 다른 점이 있습니다. '차를 타고 가는 동안'과 같이 긴 시간에서의 '동시에'와 '눈을 떴을 때'와 같이 찰나의'동시에'에서는 어떤 구문을 사용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긴 배경을 소개할 경우 as, when, while 모두 사용 가능 어떠한 일이 발생했을 때 동시에 발생된 더 긴 배경의 행동이나 상황을 소개할 경우에는 세 단어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세 단어 모두 처음과 끝 구문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as 구문은 덜 중요한 정보를 설명하는 것으로 첫 구문에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As I was walking down the street I s.. 2023. 5. 7. 틀리거나 혼동하기 쉬운 '벌리다'와 '벌이다'의 뜻과 차이 '벌리다'와 '벌이다'다는 발음이 유사하지는 않습니다. '벌이다'의 명확한 뜻을 이해한다면 두 단어를 혼동해서 사용하지는 않을 것 같으나, 애매하게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할지 순간적으로 혼동할 수 있는 단어임에는 분명합니다. 오늘은 '벌이다'에 중점을 두고 확인해 가면서 벌리다와의 명확한 구분을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벌이다'와 '벌리다'. 흔히들 누가 사고를 치면, '또 일을 벌였네'라고 표현을 합니다. 기본형에서는 구분해서 사용하기는 어렵지 않은데 활용어에서 헷갈리는 경우가 많은 듯합니다. '벌이다'는 일이나 계획과 같은 것을 시작하거나 펼치는 것을 의미할 때 사용합니다. '벌리다'는 둘 사이의 거리를 멀게 하는 것으로 '입을 벌리다'와 같이 사용됩니다. '책을 벌이다'와 '책을 벌리다'는 둘 .. 2023. 5. 7. 비슷해서 실수로 자주 틀리는 '맞추다'와 '맞히다'의 의미 발음과 의미가 비슷해서 자주 틀리는 '맞추다'와 '맞히다'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두 개의 단어가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와 적절하게 사용하기 위해 예문을 통해 확인해 보도록 해 보세요 1. '맞추다'와 '맞히다' '맞추다'의 기본 의미는 '서로 어긋남이 없이 조화를 이룬다'입니다. 이와 같은 의미로 파생되어 여러 가지의 의미를 갖고 사용됩니다. '맞히다'는 문제의 답을 올바르게 대거나 어떠한 목표 지점에 무언가를 맞게 하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두 개의 단어가 유사하게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과녁에 화살을 맞추다'와 '화살을 과녁에 맞히다'의 표현입니다. 한글기초 사전에 보면 두 개 문장의 문형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두 단어의 문형을 보면 2와 3의 자리가 다름을 알 .. 2023. 5. 6. 파이썬 그래프 라이브러리 matplotlib의 plot 함수 인자 설명 데이터 분석을 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그래프를 확인하는 방법일 겁니다. 이것을 데이터의 가시화라고 하는데, 파이썬에서 사용되는 그래프 라이브러리인 matplotlib의 pyplot 중 plot 메서드 사용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lot 메서드는 기본적으로 그래프를 그리는 것으로 그래프 창의 포맷을 변경하는 메서드는 별도로 존재합니다. 1. plt와 plot은? plt와 plot은 모두 Matplotlib 라이브러리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제공되는 함수입니다. plt는 일반적으로 matplotlib.pyplot 모듈의 별칭(alias)으로 사용되며, pyplot은 Matplotlib에서 그래프를 그리고 조작하는 데 사용되는 다양한 함수와 도구를 제공합니다. plt를 사용하여 그래프를 생성하고.. 2023. 5. 6. 의미의 차이가 있는 '매다'와 '메다'를 구별하자 '바람'과 '바램'처럼 한 가지의 의미를 갖지만 맞춤법을 조심해야 하는 경우가 있고, '매다'와 '메다'처럼 맞춤법에 따라 그 의미가 완전히 달라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오늘은 의미의 차이가 발생하는 맞춤법, '매다'와 '메다'를 구별해서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매다 vs. 메다 구별 방법 '매다'는 무엇을 묶는것을 뜻하며, 메다는 어깨나 등에 물건을 올려놓는 것을 뜻합니다. 결제와 결재에서 구별하는 방법으로 'ㅔ'라는 모음을 사용했었습니다. 'ㅔ' 모음의 형태가 'ㅓ'와 'ㅣ' 사이에 공간이 있기 때문에 카드가 지나갈 수 있는 틈이 있어 금액을 결제할 때를 떠올리라고 했습니다. 오늘은 매다의 'ㅐ'를 갖고 놀아보려고 합니다. 신발끈 두 개가 있습니다. 'ㅣ'와 'ㅣ'를 각각의 신발끈이라고 해 봅.. 2023. 5. 6. 이전 1 ··· 74 75 76 77 78 79 80 ··· 88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