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두껍다2 '가늘다'와 '얇다', '굵다'와 '두껍다'를 쉽게 구분하려면? 팔뚝이 얇을까요? 가늘까요? 허리가 두꺼울까요? 굵은 걸까요? 신체를 표현할 때 자주 사용하는 네 개의 단어를 정확하게 구분한다면 우리말 실력자라고 말할 수 있을 겁니다. 이번 글에서는 헷갈려서 혼용하기 쉬운 네 가지 표현에 대해 그 의미를 정확히 알 수 있도록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가늘다 vs 얇다 '가늘다'와 '얇다'는 개념이 비슷해서 혼용하는 일이 많은 것 같습니다. 두 단어를 쉽게 구분하기 위해서는 표현의 대상을 떠올리면 됩니다. 길이나 둘레를 언급할 때는 '가늘다'를 두께와 관련이 있으면 '얇다'를 사용하면 됩니다. 팔, 허리, 종아리 등은 둥근 실린더와 같이 생겨서 '가늘다'라고 표현해야 합니다. 책이나 옷과 같이 두께를 의미하는 단어와 같이 사용하게 될 경우 '얇다'를 사용합니다... 2023. 7. 17. 두께가 '두껍다'와 믿음이 '두텁다'의 차이를 확인해 보세요 '두껍다'와 '두텁다'는 비슷하게는 생겼지만 의미는 전혀 다른 단어들입니다. 두 단어를 혼동하여 잘 못 사용한다면 국어 실력을 의심받을 수도 있습니다. 앞으로는 그런 일이 없도록 이번에 정리하는 내용을 꼼꼼히 살펴보셨으면 합니다. 1. 두껍다 vs 두텁다 '두껍다'는 두께에 관련된 표현으로 사용되는 형용사입니다. 두께가 두껍다, 고객층이 두껍다, 두껍게 낀 어둠 등과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두텁다'는 사람과의 관계를 언급하는 표현의 형용사입니다. '두터운 관계'와 같이 사용해야 합니다. 두 단어의 구분에 있어 '두껍다'의 '두껍'으로 '두께'를 연상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2. 두껍다 [단어의 특징] 발음 : [두껍따] 활용 : 두꺼운, 두꺼워 품사 : 형용사 '두껍다'는 두께의 정도가 보통보다 큼을.. 2023. 6. 28.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