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알맞은2

'알맞은'과 '알맞는' 그리고 '맞는' 또는 '맞은'의 바른 맞춤법 단어가 하나만 있다면 헷갈리지 않고 사용할 수 있을 겁니다. 비슷한 단어로 인해 어떤 것을 사용할지 고민일 때 잘못된 선택에 의해 실수를 하게 됩니다. '알맞다'와 '맞다'의 차이를 우선적으로 검토해 볼 대상이며, 관형격 조사 '은/는'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알아야 '알맞은'과 '알맞는'을 구별할 수 있을 겁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내용에 대해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1 은 vs 는 '~은'과 '~는'은 형용사나 동사를 관형사로 만들어 주는 어미들입니다. 관형사란 명사를 수식해 그 의미를 자세히 밝히거나 꾸며주는 품사입니다. 형용사에 붙는 관형격 어미는 '~은'이며, 동사에는 '~은'과 '~는'을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알맞다'와 '맞다'의 품사를 확인하면 '~은'과 '~는' 중에 어떤.. 2023. 7. 5.
헷갈리는 단어 '알맞은', '수군거리다', '알아맞히다', '어떡해' 맞춤법 정말 자주 헷갈리는 단어들 중에 '알맞은', '수군거리다', '알아맞히다, '어떡해'가 있습니다. 이 네 개의 단어들이 사용에 있어 유사한 단어와 애매하게 혼동되는데, 오늘은 이러한 내용들을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1. 알맞은 (알맞는 X) '알맞은'은 '알맞다'의 활용형태의 단어입니다. '알맞다'의 품사는 형용사이고, 형용사의 활용에서는 '-은'과 결합하게 됩니다. '맞다'와 같은 동사는 '-는'과 결합하여 '맞는'이라는 활용의 형태로 사용됩니다. [단어의 특징] 기본형태 : 알맞다 발음 : [알:맏따] 활용 : 알맞은, 알맞아, 알맞으니 품사 : 형용사 [의미와 예문] 1. 일정한 기준이나 조건 또는 정도에 잘 맞아 넘치거나 모자라지 않은 데가 있다. - 알맞은 거리 / 날씨 / 일 / 크기 - 스도.. 2023. 5. 2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