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얇다2

다른 듯 같은 단어들 '옅다', '엷다', '얇다'의 차이 비교 다른 듯 하지만 의미를 비교했을 때 비슷한 부분이 많은 세 개의 단어 '옅다', '엷다', '얇다'에 대해 그 차이를 비교해 보려고 합니다. 본문 중간에 세 단어를 비교한 표가 있는데, 의미와 예문은 사전에 있는 그대로를 옮긴 것으로 세 단어의 사용에 대해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세 개의 단어는 같은 뜻으로도 사용할 수 있고 특정 표현에서는 단독으로 사용을 해야 합니다. 1. 물, 냄새, 소리에 대한 표현에는 : 옅다 '옅다'는 옅은 시냇물이나 옅은 강과 같이 물과 같이 사용할 때 물의 깊이의 정도를 나타냅니다. 냄새가 약하거나 소리가 작은 것을 표현할 때도 '옅다'를 사용합니다. 물, 냄새, 소리에 대한 표현을 나타낼 때는 세 단어 중 '옅다'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두께.. 2023. 7. 18.
'가늘다'와 '얇다', '굵다'와 '두껍다'를 쉽게 구분하려면? 팔뚝이 얇을까요? 가늘까요? 허리가 두꺼울까요? 굵은 걸까요? 신체를 표현할 때 자주 사용하는 네 개의 단어를 정확하게 구분한다면 우리말 실력자라고 말할 수 있을 겁니다. 이번 글에서는 헷갈려서 혼용하기 쉬운 네 가지 표현에 대해 그 의미를 정확히 알 수 있도록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가늘다 vs 얇다 '가늘다'와 '얇다'는 개념이 비슷해서 혼용하는 일이 많은 것 같습니다. 두 단어를 쉽게 구분하기 위해서는 표현의 대상을 떠올리면 됩니다. 길이나 둘레를 언급할 때는 '가늘다'를 두께와 관련이 있으면 '얇다'를 사용하면 됩니다. 팔, 허리, 종아리 등은 둥근 실린더와 같이 생겨서 '가늘다'라고 표현해야 합니다. 책이나 옷과 같이 두께를 의미하는 단어와 같이 사용하게 될 경우 '얇다'를 사용합니다... 2023. 7. 1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