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공부 목록/언어172 바깥 외(外)와 ‘이외’, ‘이 외’, ‘그외’, ‘그 외’의 바른 띄어쓰기 일정한 범위나 한계를 벗어남을 나타내는 말을 의미하는 ‘외’는 ‘이’와 ‘그’를 같이 사용하여 다양한 뜻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와 ‘그’를 붙여 사용할 경우에는 띄어쓰기에 주의해야 합니다. 띄어쓰기를 잘못하면 다른 의미가 될 수도 있고 아예 존재하지 않는 표현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외‘의 다양한 사용에 대한 띄어쓰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이외 vs 이 외 ‘이외’와 ‘이 외’는 둘 다 바른 표현입니다. 다만 그 의미가 조금 다르기 때문에 상황에 맞게 사용해야 합니다. ‘이외’는 하나의 단어로 붙여서 사용할 경우 ‘어떤 범위 밖’이란 명사가 됩니다. ‘이외’는 한자어로 ‘써 이(以)‘와 ’ 바깥 외(外)‘가 결합한 단어입니다. ’이 외‘는 대명사 ’이‘의 뒤에 의.. 2023. 7. 6. 자주 섞어 사용하는 ‘~에’와 ‘~의’의 차이 구분 두 개의 조사 ‘~에’와 ‘~의’는 비슷한 느낌이라 자주 섞어 사용하게 됩니다. 이번에 알아본 바로는 두 개의 조사에는 의미에 차이가 있다고 합니다. 잠깐 사전을 뒤져 봤는데, 그 의미가 어마하게 많습니다. 간략하게 요약할 순 없겠지만 심플하게 정리하여 올바른 한글 사용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끝까지 읽어봐 주시기 바랍니다. 1 ~에 vs ~의 ‘~에’는 앞에 있는 말이 장소, 시간, 방향을 나타낼 때 사용하며, ‘~의’는 뒤에 있는 내용이 앞의 말의 소유, 소속인 것을 나타낼 때 쓰이는 조사들입니다. 두 조사가 혼동되는 이유는 발음 때문인데요, 조사로 사용될 때의 ’~의‘는 ‘의자’와는 다르게 ‘에’로 발음이 되는 것이 혼동의 원인이 됩니다. 두 조사의 또 다른 차이로는 앞에 붙은 내용을 어떠한 품사.. 2023. 7. 6. 한자는 같지만 발음이 다른 ‘일절’과 ‘일체’의 차이 한자어 ‘一切’은 두 개로 발음될 수 있습니다. 하나는 ‘일절’로 다른 하나는 ‘일체’로 읽힙니다. 같은 한자임에도 읽는 것에 따라 의미나 쓰임도 달라지지만 품사까지 변하게 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비슷한 의미지만사용 시 주의해야 할 점이 있는 ’일체‘와 ’일절’에 대해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1 일절 vs 일체 한자 ‘切’는 ‘끊을 절’과 ‘모두 체’ 두 개의 발음으로 읽습니다. ‘절’로 발음되는 ’일절‘은 ’아주‘, ’전혀‘, ’절대로‘의 뜻을 나타내며, 부정의 문맥에서 사용하게 됩니다. ‘체’로 발음할 때의 ‘일체’는 ‘모든 것’, ‘전부’의 의미를 갖는 명사로 쓰이거나, ‘모든 것을 다’란 뜻으로 부사가 되기도 합니다. 2 일절 [단어의 특징] 발음 : [일쩔] 품사 : 부사 ‘일절’은 ‘切’을.. 2023. 7. 6. '예로부터'와 '옛부터'에서 '예'와 '옛'의 올바른 사용 방법 '예로부터'와 '엣부터'는 쉽게 헷갈릴 수 있는 단어입니다. 과거를 나타내는 두 표현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예'와 '옛'의 특성과 의미를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짧지만 굵게 두 단어에 대해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1. 예 vs 옛 '예'는 '오래 전'의 뜻을 갖는 명사입니다. 반면에, '옛'은 '지나간 때의'란 의미로 사용되는 관형사입니다. 명사는 '로부터'와 같은 조사와 결합된 상태로 표현되며, 관형사는 명사 앞에서 명사를 꾸며주기 위해 쓰입니다. '기억', '모습'을 꾸며주기 위해 '옛 기억', '옛 모습'처럼 한 칸 띄어 사용해야 합니다. 2. 예 [단어의 특징] 발음 : [예:] 품사 : 명사 '예'는 명사이므로 조사가 붙어 문장 내에서 사용해야 합니다. 보통 명사 '예'는 '부.. 2023. 7. 5. '아니오'와 '아니요'에서 '~오'와 '~요'의 쓰임 구분 '아니오'의 '~오'와 '아니요'의 '~요'는 품사가 다르기 때문에 쓰임 또한 다릅니다. '요'를 써야 할 때 '오'를, '오'를 써야 할 때 '요'를 쓰는 상황을 자주 보게 되는데 이번 포스팅에서 두 표현의 특징과 의미를 확인해 보려고 합니다. 끝까지 잘 읽어보셔서 바른말 사용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1. ~오 vs ~요 '~오'는 보통의 높임으로 서술어의 종결 어미입니다. '~요'는 상대방에게 존대의 뜻을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종결 어미는 생략을 할 수 없는 형태소이며 조사는 생략을 하더라도 의미가 그대로 전달이 됩니다. 예를 들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와 '도움 되길 바랍니다'처럼 말입니다. 2. ~오 [단어의 특징] 참고 : ‘이다’,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동사와 형용사 또는 ‘-으시-.. 2023. 7. 5. 잘못 사용하면 이상한 '알은체', '아는 체'의 차이 구별 '알은체'와 '아는 체'는 얼핏 보면 구분이 잘 되지 않는 표현 중 하나입니다. 두 표현 중 하나는 긍정의 의미를 다른 하나는 부정의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잘못 사용하게 되면 조금은 민망할 수 있는 상황이 되기 때문에 두 표현의 의미를 정확히 알 필요가 있겠습니다. 두 개의 표현을 어떻게 구분해야 하는지 특징과 의미를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체 vs 척 '알은체'와 '알은척' 그리고 '아는 체'와 '아는 척'은 서로 같은 의미입니다. '체'와 '척'은 서로 바꿔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체'와 '척'을 사전에서 찾아보면 '그럴듯하게 꾸미는 거짓 태도나 모양'의 의미를 갖는 의존명사라고 나옵니다. 제가 지금까지 '알은체'와 '아는 체'에 띄어쓰기를 해왔습니다. '알은체'는 하나의 단어.. 2023. 7. 5. '알맞은'과 '알맞는' 그리고 '맞는' 또는 '맞은'의 바른 맞춤법 단어가 하나만 있다면 헷갈리지 않고 사용할 수 있을 겁니다. 비슷한 단어로 인해 어떤 것을 사용할지 고민일 때 잘못된 선택에 의해 실수를 하게 됩니다. '알맞다'와 '맞다'의 차이를 우선적으로 검토해 볼 대상이며, 관형격 조사 '은/는'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알아야 '알맞은'과 '알맞는'을 구별할 수 있을 겁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내용에 대해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1 은 vs 는 '~은'과 '~는'은 형용사나 동사를 관형사로 만들어 주는 어미들입니다. 관형사란 명사를 수식해 그 의미를 자세히 밝히거나 꾸며주는 품사입니다. 형용사에 붙는 관형격 어미는 '~은'이며, 동사에는 '~은'과 '~는'을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알맞다'와 '맞다'의 품사를 확인하면 '~은'과 '~는' 중에 어떤.. 2023. 7. 5. 다른 의미의 '들렀다'와 '들렸다'의 차이 구분 '들렀다'와 '들렸다'는 의미가 전혀 다른 단어의 과거형입니다. 두 단어의 현재형은 쉽게 헷갈리지 않는데 과거형 '~었'이 붙으면서 단어의 형태가 유사해집니다. 이로 인해 몇몇 분들께서 혼용하는 사례가 종종 있곤 합니다. '들렀다'와 '들렸다' 단어들의 특징과 의미 및 예문을 잘 확인해 보시고 앞으로 헷갈리지 않길 바랍니다. 1. 들렀다 vs 들렸다 '들렀다'는 '들르다'의 의미를 갖는 어간 '들르~'에 과거를 의미하는 어미 '었'이 붙어 '들르다'의 과거를 나타내는 단어입니다. '들렸다'는 '들리다'의 어간 '들리'에 과거 어미 '었'이 결합된 '들리었다'의 줄임말입니다. '이었'은 '였'으로 표기할 수 있습니다. 즉, '들렀다'는 지나가는 길에 어딘가를 잠깐 머물렀다의 의미고, '들렸다'는 과거에 어.. 2023. 7. 3. 이전 1 ··· 5 6 7 8 9 10 11 ··· 22 다음 728x90